구글 스프레드시트(Google Sheets)는 데이터를 편리하게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그 중에서 차트 기능은 시각화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도 한눈에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특히, 차트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시트에서 차트를 설정하고, 자동으로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시트 차트 만들기
차트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필요한 것은 기초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 매장의 월별 매출 데이터를 수집했다면,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각 매장의 매출은 서로 다를 수 있으니, 이를 정리한 표를 만들어주세요.
표 작성하기
스프레드시트에서 표를 만드는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 데이터의 구조에 따라 각 열에는 매장 이름, 날짜, 매출 등이 들어가도록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 매장 A: 100, 150, 200…
- 매장 B: 80, 120, 170…
- 매장 C: 90, 130, 180…
이러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정리한 후, 차트를 만들어 시각적으로 표현할 준비를 해보겠습니다.
구글 시트에서 차트 생성하기
이제 차트를 만드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단계: 차트 삽입하기
구글 시트의 상단 메뉴에서 ‘삽입’을 선택한 후 ‘차트’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빈 차트가 생성되며, 오른쪽에 차트 편집기 창이 나타납니다.
2단계: 차트 유형 선택
차트 편집기에서 다양한 그래프 유형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형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막대 그래프나 열 그래프가 데이터 비교에 가장 적합하며, 상황에 따라 선 그래프나 원형 차트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3단계: 데이터 범위 설정
차트에 사용할 데이터 범위를 선택합니다. 차트 편집기에서 직접 범위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범위를 드래그하여 지정하는 것이 더 직관적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범위를 설정한 후 Enter를 눌러 확인합니다.
4단계: 행/열 전환하기
차트의 형식이 의도한 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행과 열이 바뀌었다면, 차트 편집기에서 ‘행/열 전환’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원하는 대로 수정합니다.
5단계: 축 및 레이블 설정
차트의 X축 및 Y축에 어떤 데이터가 들어갈 것인지 설정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그래프에 표시할 라벨과 데이터를 추가하여 시각적으로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차트 자동 갱신 설정하기
차트를 설정한 후, 데이터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수동으로 차트를 수정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가 변화할 때 자동으로 차트의 세로축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앱스 스크립트 활용하기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차트를 자동 갱신하기 위해서는 앱스 스크립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는 앱스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세로축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간단한 코드입니다:
function onEdit(e) { var sheet = e.source.getActiveSheet(); var max = sheet.getRange("E2").getValue(); // 최대값 var min = sheet.getRange("E3").getValue(); // 최소값 var chart = sheet.getCharts()[0]; chart = chart.modify() .setOption('vAxes.0.viewWindow.max', max + 2) // 최대값 .setOption('vAxes.0.viewWindow.min', min - 2) // 최소값 .build(); sheet.updateChart(chart); }
이 스크립트는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며, 차트의 세로축 최솟값과 최댓값을 업데이트해 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매번 수동으로 차트를 수정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차트 커스터마이징
차트를 좀 더 돋보이게 하려면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차트 색상 변경
차트의 색상, 폰트 스타일 등을 수정하여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차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맞춤설정 탭에서 색상을 선택하고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해 보세요.
2. 범례 및 제목 추가
차트에 제목이나 범례를 추가하여 정보를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범례의 위치도 조정할 수 있어, 상단, 하단, 좌우 등 다양한 옵션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레이블 추가
차트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레이블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차트의 각 막대 또는 점에 수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마무리하며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차트 기능을 활용하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 갱신 기능을 활용하면 매번 수동으로 수정할 필요 없이 신속하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차트 설정과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세요.
이제 구글 시트에서 차트를 설정하고 자동으로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잘 이해하셨을 것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각적으로도 매력적인 자료를 만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주 물으시는 질문
구글 시트에서 차트는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
구글 시트에서 차트를 생성하려면, 먼저 데이터를 정리한 후 상단 메뉴에서 ‘삽입’을 클릭하고 ‘차트’를 선택하면 됩니다.
차트 자동 갱신 기능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차트의 자동 갱신 기능을 위해서는 구글 앱스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데이터 변경 시 차트의 축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차트를 커스터마이즈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차트의 색상이나 폰트 스타일을 변경하거나 데이터 레이블과 제목을 추가하여 차트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차트 유형이 데이터 비교에 적합한가요?
데이터 비교에는 막대 그래프와 열 그래프가 일반적으로 가장 적합하며, 필요에 따라 선 그래프나 원형 차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차트를 만든 후 수정할 수 있나요?
네, 차트를 만든 후에도 언제든지 차트 편집기를 통해 데이터 범위나 축 설정 등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